본문 바로가기
영화를 보고

5월의 광주를 기억하는 영화들.

by 은빛연어 2011. 5. 23.

 흔히 5월을 "가족의 달"이라고 말한다. 가족의 의미를 생각하게 만드는 기념일들이 많다보니, 유독 5월이 되면 그동안 소홀히 했던 가족들에게 좀 더 관심을 기울이고 서로의 사랑을 새삼스레 재확인한다. 봄이 한창인 가장 좋은 계절이다 보니 가족 동반으로 야유회를 가기도 하고, 사정이 허락지 않는 사람들은 멋진 외식으로 가족애를 돈독히 한다. 그러다 보니, 5월의 또 다른 의미 있는 날에 대한 기억들이 점점 희미해지는 것 같다.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자유와 민주주의가 너무 당연하게 느껴지다 보니,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해서 명멸해간 이름 없는 영웅들의 희생을 점점 망각한다. 이제는 영웅들의 유가족들만 지난 쓰라린 기억들을 되내며, 아직도 아물지 않은 아픈 상처를 조금씩 보듬고만 있을 뿐이다.

 망각의 동물인 사람들이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기억해주지 않는 것이 유가족들에게는 섭섭하겠지만, 세상이 이상하게 변하다 보니 유가족들에게 다시 상처를 주는 목소리가 더 커지고 있다. 한 두 명 정신병자들의 발광이라면 그냥 "미친X"라고 말하고 무시하겠지만, 정부의 예산까지 지원 받은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정치세력화된 형태로 5월의 희생을 폄하한다. 하긴 히틀러의 홀로코스트가 존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명성있는 학자도 존재하고, 이번 칸 영화제에서 나치를 찬양하는 거장 감독이 있는 마당에 광주민주화운동을 폄화하는 목소리 쯤이야. 이렇게 편안하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런 작은 미친 소리가 어느 순간엔가 진실의 여부와 상관없이 그럴듯하게 포장되어 설득력 있게 퍼져나가게 된다. 믿고 싶은 것 만을 믿고 싶어하는 인간의 습성을 교묘하게 파고든다. 특히 인터넷이라는 공간은 익명성 뒤에 숨은 사기꾼들에 의해서 거짓이 진실이되고 진실이 거짓이 되기 도구가 된다.

 조작된 사실이 복제되고 쉽게 전파되는 지금의 현실을 본다면, 정확한 기록을 남겨서 기억해야 할 우리의 의무는 커진다. 사소한 것을 꼬투리 잡아서 왜곡해 자신의 생각을 덧붙이는 조작자들이 쉽게 조작하지 못할 기록들을. 그런 점에서 영화는 사실을 담고 있지만, 감정까지 담을 수 있는 좋은 매체가 아닐까? 5월의 광주를 기억하는 영화 중에 가장 먼저 생각나는 영화가 정선우 감독의 "꽃잎"이다. 이 영화는 5월의 광주를 정면으로 다루기 보다는 5월의 광주를 기억하고 있는 한 소녀를 통해서 그 당시 광주를 우회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 영화가 만들어질 당시 우리 사회의 분위기가 성숙하지 않은 면도 있다고 생각되는데, 오히려 소녀를 통해서 광주의 상처를 더 설득력 있게 표현하는 작품이라고 생각된다.

꽃잎 - 8점
장선우

 영화 "꽃잎"은 총성 속에 죽어가는 엄마를 버리고 도망친 소녀가 주인공이다. 그녀는 공사장 인부인 장을 오빠라고 부르며 따라다닌다. 소녀가 가진 원인 모를 상처에 장은 분노를 느끼고 소녀를 학대하지만 소녀의 슬픈 기억 속으로 점점 빠져든다. 의문의 죽음을 당한 친구의 여동생을 찾아 "우리들"은 여기저기 헤맨다. 어느날 장은 무덤가를 헤매는 소녀를 지켜보는데, 소녀는 무덤 앞에서 죽어가는 엄마의 손을 뿌리치고 도망쳤던 과거를 이야기한다. 이 영화에서 소녀 역을 연기했던 이정현은 뛰어난 연기로 주목받음과 동시에 그해 신인 연기상을 휩쓸 정도로 인상적이다. 이정현의 연기를 통해서 5월 광주의 아픔을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5월의 광주 이야기를 정면으로 영화화해 했던 작품은 2007년에 만들어진 김지훈 감독의 "화려한 휴가"다. 당시에도 이 영화를 두고 정치적 해석을 하려는 이들이 존재했으니, 지금 일어나고 있는 5월의 광주에 대한 폄하나 왜곡의 뿌리는 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당시 그런 정치적 논란이 나왔던 것도 어쩌면 우리 사회는 그 이전까지 진정으로 5월의 광주를 대면하지 못했던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런 저런 논란을 무시하고, 이 영화는 애써 외면했던 진실과 역사를 정면으로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작품이다.

화려한 휴가 - 8점
김지훈

 영화는 광주에서 택시기사를 하는 민우와 동생 진우는 평범한 일상을 산다. 어느날 갑자기 진압군이 광주로 진입해 평범한 일상이 순식간에 깨어진다. 진우는 진압군의 총에 죽임을 당하고 민우는 퇴역장교 출신 흥수를 중심으로 결성된 시민군에 가담해 전남도청을 중심으로 진압군에 저항한다. 영화는 평범한 일상이 순식간에 무자비하게 짓밟히는 소시민들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광주에서 죽은 희생자들이 우리의 평범한 이웃과 다르지 않음을 보여준다. 그들의 행동이 사실을 왜곡하는 이들이 말하는 정치적 의미나 이념적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자유와 민주주의를 향한 진실한 갈망임을 매력적으로 보여준다. 영화의 엔딩 쯤에 이요원이 연기한 신애가 거리를 이동하면서 이들의 기억해 달라는 간곡한 외침은 그들을 망각해가는 우리들의 가슴에 비수를 찌르는 듯하다.

 지금까지 영화들이 기록과 역사를 통해서 재구성된 이야기였다면, 다큐멘터리 영화 "오월애"는 5월의 광주 현장에 있던 이름없는 시민들을 추적해 그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영화다. 그들의 기억을 통해서 되살아나는 5월의 광주와 현재의 삶의 모습을 카메라를 통해서 보여준다. 가게 문을 열어 빵과 음료수를 나눠줬던 주인, 버스에 시민군을 태우고 달렸던 운전기사, 주먹밥을 만들어 날랐던 아주머니 등. 총을 들고 정면으로 싸우지는 않았지만, 광주의 현장에서 저항하던 시민들을 물심양면으로 도왔던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당시의 삶과 지금의 삶을 기록으로 담은 작품이다.

오월愛 - 8점
김태일, 주로미

 사실의 왜곡도 조심해야 되지만, 과장된 신화도 조심해야 된다. 그런 점에서 평범했던 사람의 삶을 추적해 당시의 기억과 현재의 삶을 담은 이 영화는 30년이 지난 지금 우리가 과거를 평가할 때 담담하면서도 진실되게 그들의 삶을 이해할 수 있게 만든다. 김태일 감독은 한 인터뷰에서 이 영화를 통해서 "단지 눈물 흘리고 보상하는 것 뿐 아니라 철저한 교육을 통해 진정한 반성을 해야한다. 광주만큼은 절대로 잊어선 안 된다"라는 소박한 바람을 피력했다. 그의 바람과 함께, 진실을 왜곡하려는 집단이 더 이상 설 자리가 없었으면 하는 개인적 바람을 더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