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을 읽고

개인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힘 휴먼 브랜드 "Unitas brand vol 4"를 읽고

by 은빛연어 2008. 5. 25.
Unitas BRAND 휴먼브랜드 - 10점
유니타스브랜드 잡지 기획부 엮음/(주)바젤커뮤니케이션

 

 4~5% 대의 꾸준한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서민들은 힘들고, 젊은이들 상당수가 백수이거나 비정규직이다. 반면 기업들은 세계적인 신용 경색과 고유가 상황에도 불구하고 적자를 보기는 커녕 꾸준한 이익을 내고 있거나 증가하고 있다. 그들이 성공했던 이유는 경제 개발 시대의 양적 성장에서 벗어나 질적 성장으로 미리 전환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갖가지 대외악재에도 불구하고 견고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그들이 구사하는 질적 성장이란 시장의 다변화와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브랜드 가치의 향상이다. 브랜드라는 딱지를 떼어버리고 쯤은 가지고 싶어하는 욕망을 불러일으키는 명품 브랜드로 변환을 통해서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이익률을 향상 시킴으로써 기업 경쟁력을 견고히 다져왔다. 이러한 브랜드의 가치는 이제 기업을 넘어서 국가에게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관광객을 유치하고 외자를 유치하고, 코리아 디스카운트라고 불리는 현상을 해소와 같은 중요한 수단이 한국이라는 브랜드 가치를 올리는 것이 때문이다.


 하지만 개인들은 기업과 국가로부터 정교한 톱니바퀴가 되기를 강요 받는다. 흔히 말하는 공익내부고발자들은 조직을 배신한 변절자로 낙인 찍어버린다. 명령에 복종하고 지시에 따르는 것이 조직에 속한 개인들이 가져야 절대 덕목인 것이다. 조금의 차이나 돌연변이를 인정하지 못하는 옹졸한 시스템 아래에서 개인은 부속품으로만 소모되어 버린다. 다른 조직이나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부속품들은 쓰임새를 상실하고 도태되어 버린다. 뿐만 아니라 흔하디 흔한 부속품들은 빨리 교체되어 버린다. 흔한 부속품들이 비정규직들이 차지하고 있는 자리다. 그래서 그들은 기업의 착취에도 정당한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약자이자, 노예다.


 첨단 기술들이 무너뜨린 국경의 장벽 앞에서 흔한 부속품들은 이상 국경은 없다. 이제 개인들은 흔한 부품이 아니라 중요한 부품으로 자신의 가치를 높이거나 아니면 자신이 하나의 제품이어야 한다. 자신을 브랜드화 필요가 생긴 것이다. 그렇게 휴먼 브랜드가 됨으로써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있는 공간은 기업 같은 조직을 넘어서 국가 전체가 되기도 하고 전세계가 되기도 한다.


 그럼 우리는 성공적인 휴먼브랜드가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전략은 "1). 명확한 자신의 브랜드 플랫폼을 정의하라. 2).모든 관계에 있어 당신의 행동이 빚어낼 이미지까지도 신경을 써라. 3) 모든 상호작용에 있어서 차별화되고, 합당하며, 일관성 있는 브랜드가 되어야 한다. 4) 순간에 있어 다른 사람과는 다르다는 것을 보여줘라. 5)타인들이 당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물어봄으로써 당신의 브랜드 자신을 측정해 보라" 것이다.


  책에는 대표적인 휴먼 브랜드를 4명을 선택해서 분석하고 인터뷰했다. 헤드헌터인 유순신 유앤파트너즈 대표, 사진작가 김중만, 소설가 이외수, 이익훈어학원 회장 이익훈이다. 4 모두 분야에서 최고가 있었던 자기만의 가치를 인터뷰를 통해서 드러냈다. 유순신 대표는 치열한 비즈니스 시장에서도 사람과 감성으로, 김중만 작가의 경우는 사회적 틀에 구에 받지 않는 자유로움과 스스로에 대한 인색함을 통한 자기발견, 이익훈 회장을 통해서는 자기애를 바탕으로한 열정과 성실함을, 소설가 이외수 선생님을 통해서는 자기 개발을 위한 노력과 인간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있다.


 휴먼 브랜드가 특집을 이루는 책이기는 하지만, 도시 랜드마크의 4가지 요인인 magus(기대), miracle(기적), meaning(가치), merriment(유희) 통해서, 최근에 도시와 지방에서 불고 있는 지방정부의 브랜드 전략과 가치를 엿볼 수도 있다. 밖에도 출판 시장에서 휴먼 브랜드를 구축한 사람들의 특징도 있는데, 특히 좋아하는 작가 중에 하나인 한비야의 글쓰기 과정은 그저 감탄만 난다. 그저 편하게 쉽게 글인 알았는데 마음에 때까지 번씩 퇴고를 한다고 한다. 이외수 선생님의 인터뷰에 타고난 것은 없고 노력해야 한다는 말이 다시 생각난다.


 경쟁사회에서 치열하게 살아가는 개인들이 믿을 것은 국가도 자신이 속해 있는 조직도 아니다. 산업자본과 천박한 자본주의에 매몰되기 시작한 정치와 정부는 이상 국민에게 관심을 가지고 보호하려 하지 않는다. 결국 세상에서 믿을 것은 가족과 친구 그리고 자신이다. 국가는 국민의 건강과 안위보다는 기업과 자본의 경제적 이익만 생각하기에 기업과 자본은 살찌우고 평범한 국민들은 가난해 진다. 프랑스의 석학 자크 아틸리는 하이퍼 자본주의사회가 도래하고 반작용으로 새로운 사회주의 사회로 변모해 것이라고 했지만, 시기는 우리랑 상관없을 것이다. 우리는 때론 실패하며 낙오되고, 때론 성공이라는 꿀을 먹기도 하고, 아니면 그저 평범한 조직의 부속품으로 경쟁사회에서 치열하게 살아갈 것이다. 사회에서 자신에게 강력한 힘이 되어줄 무기이자 도구는 자신이 브랜드가 되는 것이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