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시국이 그렇다보니 영화가 원래 전달하고자 또는 담고자 했던 메시지가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영화에 대한 정보를 최소한으로 가지고 가야 내 나름의 주관을 가지고 영화를 본다고 생각하기에, 이번 주 "씨네21"에 실린 봉준호 감독의 인터뷰나 영화 "마더"에 대한 기사들을 눈대중으로 보고 대충 넘겨버렸다. 그냥 영화에 집중하기 위해서 였다. 원래 영화를 평론가처럼 깊이 있게 분석하는 재주가 없기에 그냥 느끼는 대로 보는 편이지만, 이 영화를 보고 나온 후의 느낌은 지금의 우울한 상황에 의해 왜곡되어 버렸다.
영화는 하나의 스토리를 통해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장면 장면에 감독이 의도한 메시지가 있기는 하지만, 보통 그런 메시지들은 감독이 의도했던 영화의 핵심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그래서 영화 전체의 내용을 가지고 하나의 메시지로 이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난 이 영화를 왜곡해서 해석해 버렸다. 영화 전체의 메시지를 이해하지 못하고 몇 몇 장면과 설정만을 가지고 난 이 영화를 보면서 지금의 현실과 영화 속 이야기를 매치 시켜 버렸다. 내가 해석하고 이해한 것은 분명 너무나 과장되고 왜곡된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인간은 감성의 동물이 아니던가. 지금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그리고 일어나고 있는 비열한 상황 속에서 누르고, 또 누르고 있는 나의 감정들이 이 영화의 관람에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
김혜자가 연기한 "마더" 그리고 원빈이 연기한 아들 "도준"은 영화 속에서 분명 우리시대의 서민들이고 소외 받은 약자들임에도 불구하고 난 그들을 우리시대의 권력자와 기득권층으로 읽힌다. 왜 마더는 견찰과 떡검이요, 도준은 2mb로 느껴질까? 마더가 아들에게 가진 원죄, 그것 때문에 아들을 맹목적으로 사랑하는 마더. 왜 원죄는 절대권력이요, 마더의 맹목적인 사랑을 권력을 향한 맹목적인 복종으로 보일까? 그리고 영화 속 경찰들, 미국 드라마 CSI를 운운하며 요즘은 과학수사가 잘 되어 마치 자신들이 공정한 심판자처럼 보이지만, 나는 왜 그들이 시대의 트렌드만 쫓으면서도 생각 없고 무식한 우리 대중들로 보일까? 살해당한 여학생, 치매 할머니를 모시고 있는 소녀가장이라는 설정, 현실과 양심 속에서 갈등하는 모습 그리고 누군가에 의한 죽음 왜 노무현 전 대통령이 내 뇌리를 스쳐지날까? 영화 속에서 다른 누군가에서 살해 당한 노인은 왜 bbk사건의 김경준으로 보일까? 오늘 대법원의 확정 판결으로 김경준의 죄에 대해서는 명확히 결론이 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그가 영화 속의 노인처럼 그저 불쌍한 희생자로 보인다.
내가 왜 이렇게 생각하고 느끼게 되었는지 영화의 내용과 함께 자세히 설명하고 싶지만, 다른 이의 영화 관람을 방해하기 싫어서 단지 그냥 내가 느낀 것만 나열해 본다.
'영화를 보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차우', 괴수 영화인가 코메디 영화인가? (4) | 2009.07.15 |
---|---|
에로스적 감각을 자극하지 못하는 영화. 영화"오감도"를 보고 (0) | 2009.07.13 |
영화 "7급 공무원"을 보고 (0) | 2009.04.23 |
삶의 길을 잃은 사람들에게. 연극 "라디오, 잠시 길을 잃다. season 2"를 보고 (0) | 2009.03.10 |
영화 "구세주 2"를 보고. (0) | 2009.02.25 |